(해당 이미지는 본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입니다)
카이스트 한동수 교수팀, 무선 랜 신호 정보 이용
오차 거리 10m 이내 줄여…가구 단위로 위치 파악
[헤럴드경제=신상윤 기자]GPS(위성항법장치)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에서 스마트폰의 위치를 가구 단위로 정확하게 알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.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실내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거나, 분실한 스마트폰을 되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 카이스트(KAISTㆍ한국과학기술원)는 한동수 전산학과 교수 연구팀이 무선 랜 신호정보를 이용해 실내에 있는 스마트폰 위치를 오차 거리 10m 이내로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.
이 기술은 실내에서 수집된 무선 랜 신호 정보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활용했다. 이미 설치된 무선 랜 신호 중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적은 비용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.
통상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경우 통신사에 문의하면 위치를 알려준다. 하지만 기지국을 통한 실내 위치인식은 500~700m 범위의 오차가 있기에 실내에서 분실한 스마트폰을 되찾기는 거의 불가능하다. 최근에는 주택가에 납치된 피해자가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으나, 경찰이 피해자 위치를 찾지 못해 살해당하는 안타까운 사건도 발생했다.
이 같은 실내 위치인식에 대한 한계를 한 교수 연구팀이 해결한 것이다. 한 교수는 먼저 스마트폰 사용자의 무선 랜 신호 정보 특성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.
한 교수는 연구원 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스마트폰에 기록된 무선 랜 신호 정보를 수집했다. 이들의 신호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집과 사무실에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고, 신호정보의 특성을 분석해 집과 직장을 분류했다.
연구팀은 이 기술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 7~11월, 서울 인사동 민속촌, 대전 갤러리아 백화점 주변, 대전 어은동 아파트 단지, 대전 전민동 원룸 밀집지역 등 각각 특성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위치추정 정확도를 측정했다.
그 결과 데이터를 수집한 양이 전체 가구 수의 50%를 넘어서면 10m 미만의 오차를 나타내, 도심 어느 환경에서나 가구 단위로 정확하게 스마트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. 게다가 실내에서는 몇 층에 있는지도 명확하게 구분됐다.
한 교수는 “도심에 설치된 무선 랜 중계기의 위치 정보 없이도 스마트폰의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”며 “최근 구글이나 애플에서 개발한 WPS(Wi-Fi Positioning System)의 경우 35~40m의 오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이번에 개발된 기술이 월등히 우수하다. 다만 스마트 폰 사용자의 집과 직장 주소 등 개인 정보가 필요한 만큼 보안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”고 말했다.
ⓒ헤럴드경제
신상윤 기자 ken@heraldcorp.com
2012-12-13 |